2015. 2. 25. 19:15 Mathematics
Gaussian Integral with Imaginary Coefficients
보통 ∫exp(iax2)dx,a∈R+를 적분할 때는 다음과 같은 극한을 이용해서 풀곤 한다.
∫+∞−∞eiax2dx=∫+∞−∞limϵ→0e(ia−ϵ)x2dx=limϵ→0∫+∞−∞e(ia−ϵ)x2dx
∴∫+∞−∞eiax2dx=√π−ia=(1+i)√π2a
문제는 극한의 적분과 적분의 극한이 같지 않을 수 있다는 것. 물론 위의 적분은 맞는 값이긴 하다. 위 적분을 제대로 구하는 한 가지 방법은 http://www.jstor.org/stable/2588989에서 다루고 있으니 참조. 이 글에서는 조금 다른 방법으로 구할 생각이다. 일종의 컨투어 회전.
아이디어는 복소평면에서 exp(iaz2)의 절대값을 그리게 되면 안장과 같은 모양을 하게 된다는 것. 원래 적분하는 구간은 다음 그림과 같다.
복소평면에서 적분하고 exp(iaz2)는 pole이 하나도 없는 1 analytic function이기 때문에 이 적분은 '시작점'과 '끝점'에만 의존한다. 해당 적분을 다음과 같이 바꾸어도 된다는 것.
왼쪽의 붉은 원호 적분이 Γa, 가운데의 녹색 선 적분이 Γb, 오른쪽의 붉은 원호 적분이 Γc이다. 파워포인트로 그리느라 감마를 넣는 과정이 복잡해서(..) 그림에는 넣지 않았는데 대충 알아들으리라 믿으며..
Γb를 +45도로 잡은 이유는 z2의 허수부가 양수가 되도록 만들기 위해서다. 그래야 a 앞의 i와 상쇄되어 음수가 만들어지니까. 각 적분을 구해 보자.
∫+R−Reiax2dx=Γa+Γb+Γc
Γb=(1+i)√2∫+R−Re−ax2dx
여기까지는 쉽다. 이제 남은 두 적분이 R→∞ 극한에서 사라진다는 것을 보일 차례.
Γa=∫π/40eiaR2exp(2iθ)[−Reiθ]dθ=∫π/40−ReiaR2cos(2θ)+iθe−aR2sin(2θ)dθ
어차피 크기가 0으로 날아간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므로 크기만 구하면 된다.
|Γa|≤∫π/40|−ReiaR2cos(2θ)+iθe−aR2sin(2θ)|dθ=∫π/40Re−aR2sin(2θ)dθ=∫π/20R2e−aR2sin(θ)dθ≤∫π/20R2e−aR22πθdθ∼O(R−1)
마지막 줄은 Jordan's lemma를 그대로 이용한 것. Γc도 같은 방법으로 1/R 꼴을 갖는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이제 결론만 남은 상태.
∴∫+∞−∞eiax2dx=Γb=(1+i)√2∫+∞−∞e−ax2dx=(1+i)√π2a
참고로 이 방식을 이용하면 처음 극한을 이용할 때 문제가 되는 √i의 부호가 한번에 해결된다. ((1+i)√2)2=(−(1+i)√2)2=i에서 어떤 부호를 택할 것이냐의 문제. 문제에서 a가 음의 실수인 경우에는 -45도로 틀면 똑같은 결론을 얻으니 더 언급할 필요는 없을 듯 하다.
- 물론 무한원점은 essential pole에 해당하지만, 여기서는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본문으로]
'Mathe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항전개와 수치근사 (1) | 2015.05.01 |
---|---|
Mobius Transformation and Rotation in E^3 (0) | 2015.03.21 |
로그 항등식? (3) | 2014.10.26 |
Commutators in finite dimensions and identity matrix (0) | 2014.08.15 |
Poincare Half Plane 푸앙카레 반평면 (2) (0) | 2014.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