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어 꿈을 꾼 기억이 있는가?


간혹 게으름에 굴복해 침대에 누워있다 보면 깨어서 꿈을 꾸게 된다. 정신은 더 없이 멀쩡하지만 육신은 꿈 속을 헤맨다. 육신을 원래의 세계로 돌려놓는 것은 핸드폰 알람이거나 밥 먹으라는 어머니의 독촉 정도. 그러고 보니 요즘 너무 게을러졌군.[각주:1]


뜬금없는 헛소리를 늘어놓은 것은 아직은 꼬리가 없는 이 소설이 그와 닮았기 때문이다. '부활의 왼손'이라는 별칭의 신비한 능력을 가진 레이즈와 그와 얽히게 된 사람들의 기이한 이야기를 읽다 보면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면이 점차 융해되어 사라지는 느낌에 빠져들게 된다. 그리고 가슴은 그 기묘한 감정의 여운에 한동안 헤맨다.


소설의 독특한 구성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예는 3장 사전이다. 이미 말한 적 있듯 본인은 구상하기만 하는 소설이 꽤 많다. 그 중 하나가 「어느 역사학자의 책상」이라는 제목을 붙일 예정이었던 글인데, 이 글은 신문기사 스크랩과 녹취록 등 짧은 독립적인 글들로부터 구현되는 하나의 이야기로 생각만 했었다. 가제처럼 어느 역사학자의 책상을 훔쳐보는 듯 한 느낌을 구현하고 싶었던 것이다. 물론 『갑각 나비』의 3장은 사전의 독립적인 항목들을 첫 장부터 끝까지 읽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필자가 마음에 두고 있었던 글과는 조금 다르다. 하지만 실제로 이런 형식으로 글을 쓸 수 있다는 사실은 꽤 커다란 충격이었다.


3장의 경우 그 실험적인 구성으로 소설의 기묘함이 더욱 두드러지나 이 글의 기묘함은 그 구성보다는 그 주제로부터 기인한다고 본다. 『갑각 나비』의 주제는 원, 정확히는 뫼비우스의 띠이다. 소설의 각 장은 크건 작건 하나의 원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각 장에서 그리던 호가 처음 시작한 위치로 돌아올 때가 되었을 때, 그 호는 뒤집혀 원점과 결합한다. 예컨데 이런 것이다. 첫 장에서 알드레는 잃어버린 왼손을 다시 얻으며 돌아온다. 하지만 돌아온 원점에서 그는 '솟는 것이 있으면 가라앉는 것도 있다'는 말처럼 무언가 다른 것을 잃어버렸다. 다른 원들은 독자께서 직접 읽으며 찾으시길 바란다.


본인은 이전에 짧은 단상을 적으며 아름다운 이야기에 대해 말했던 적이 있다. 그리고 그것 아는가? 옛 사람들은 원을 완벽한 도형, 즉 가장 아름다운 도형이라고 여겼다고 한다. 원의 이야기. 아름다운 이야기는 멀리서 찾을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현재 소설은 13장까지 나와 있다. 12장과 13장 사이에는 10년이라는 시간 간격이 있어서인지 분위기가 다소 다른데, 13장은 설명이 늘어진다는 느낌이다. 13장이 압도적으로 길다는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그 늘어지는 설명이 그 어떤 장들보다도 더욱 거대한 뫼비우스의 띠를 만들었다. 작가의 10년 전의 글을 더럽히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은 기우로 치부해도 좋을 것이다.


http://www.drwk.com/serial/frame.php?idx=12908&bidx=1000024

  1. 물론 헛소리다. 자고 있었다는 것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개운하게 깨는 것일 뿐. [본문으로]
Posted by 덱스터

블로그 이미지
A theorist takes on the world
덱스터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