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 올린 글. 약간의 수정을 거쳐 재게재합니다.




요즘 들어 타임라인에 정치글이 많이 보이길레, 그냥 간단한(?) 상황 판단을 위한 가이드라인 올려봅니다. 아마도 내려갈수록 중요한 내용.


- 짤로 돌아다니는 내용으로 판단하지 말 것.

File Extensions

http://www.xkcd.com/1301/

짤은 언제까지나 인스턴트 정보이며, 인스턴트 정보로 얻을 수 있는 진실은 통조림 음식 수준밖에 안 됩니다.


- 그나마 인스턴트 치고는 괜찮을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건 토론 프로그램.

한 쪽이 일방적으로 밀리는 토론은 알맹이가 없고, 양 쪽이 치열하게 치고박고 싸우는 토론일수록 정보량이 많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괜찮은 토론 프로그램이 있나 모르겠네.


- 한 사안에 대해 판단을 할 때, '각 진영'에서 제공하는 최대한 양질의 '글'을 최소 5개씩은 읽고 다음 과정을 거칠 것.

1. 양질의 글이란 최소한 세 가지의 논거를 기반으로 주장을 논리적으로 전개한 것을 말합니다. 10-20줄짜리 글은 일단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비슷한 논거를 기반으로 논리를 전개하는 글은 되도록 빼세요.

2. A4 한 장을 반으로 나누어 각 글에서 들고 있는 논거를 정리할 것. 통계 수치나 과거 사례 위주로.

3. 많은 경우 이렇게 하면 양 진영에서 같이 들고 있는 과거 사례가 있거나 서로 충돌하는 통계 수치가 있을겁니다. 이 경우엔 과거 사례를 해석하는데 취한 입장도 같이 정리하고 양쪽의 통계 수치의 신뢰성을 확인.

4. 여기까지 하는데 짧으면 2-3시간, 길어야 5시간 정도 걸릴 겁니다. 이 정도 시간도 투자 안 하고 진실을 얻겠다고 하신다면 통조림 수준의 진실밖에는 구할 수 없다는 말씀 드리기로 하죠.

5. 마지막으로, 혼자서 백분 토론을 거칠 것. 한 쪽에 최대한 빙의해서 다른 쪽을 공격하고 이 쪽을 방어하는 훈련을 해 봅니다. 이 일을 양 진영에 대해 다 해볼 것.

0.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을 속이지 않는 것. 20~30쪽은 되어보이는 글은 도저히 못 읽겠다고 질 나쁜 것으로 지레짐작하고 건너뛰는 것은 자기기만입니다. 단문이 대세인 인터넷 시대에 긴 글은 길어봤자 A4 5쪽 이내예요(논문이나 보고서를 읽는 것이 아니라면). 그리고 5번을 할 때 한쪽 진영에 대해 별로 호감이 안 간다고 불성실하게 빙의하지 마시고요.


- 신문 읽는 법. 전 신문을 안 읽습니다만, 도움이 될 사람이 많을 거라 생각해서.

1. 신문 기사에서 사용하는 단어를 확인. 단어마다 고유한 분위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신문 기사에서 그 대상에 대해 어떤 인상을 심으려 하는지 볼 것.

2. 신문 기사에서 말하지 않는 논리적 기반을 확인. 쉽게 말해 신문 기사가 무엇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있는지 확인하라는 의미입니다.

3. 신문 기사간 관계를 확인. 온라인상으로 읽을 땐 잘 드러나지 않지만 지면으로 읽을 땐 신문 기사를 어떻게 배치하는가에서도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지면에 '경제 상황이 나빠 꿈을 잃는 대학생들'이라는 식의 기사와 '경제가 안 좋은데 파업이라니' 이런 식의 기사가 같이 있다면 그 신문은 대학생과 파업을 대립시키려는 의도가 있다고 볼 수 있겠죠. 가장 많은 훈련이 필요한 항목.

0. 정리한다면, '신문 기사를 많이 읽어라'가 아니라 '신문 기사를 깊게 읽어라'가 되겠네요. 많이 읽는건 양질의 선택을 하는데 별로 도움이 안 됩니다.


- 주장하는 사람의 순수함과 주장하는 내용의 합리성은 완벽한 독립변수.

순수한 의도로 악을 행할 수 있고, 그 반대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한나 아렌트가 '악의 평범성'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내게 된 아돌프 아이히만이 전자의 한 사례고[각주:1], 자신이 이득을 얻겠다고 거래를 제안해오는 사람이 모두 내게 불리한 제안만 하는 것은 아니죠.


-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 자신도 믿지 말 것.

가장 힘들다고 생각하지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 '나도 틀릴 수 있다'란 생각을 항상 하시길.



사실 첫 번째 항목이랑 마지막 항목이 제일 중요해요. 그것만 되어도 판단의 질이 150% 개선됩니다.




중요하니까 다시 한번 말하도록 하죠. 근본없는 짤방 같은 인스턴트 진실은 그만 드시고, 자신에 대한 과신은 제발 좀 버리세요. 순수함에 대해서도 중요하다고 생각은 하는데 아무래도 앞의 둘보다는 중요도가 떨어져서. 참고로 순수는 편의점에서 500원에(코카콜라에 가는 로열티 포함) 200ml짜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내용은 대체로 캡콜(capcold.net/blog/‎)님이나 민노씨(http://minoci.net/)님의 가이드라인을 기억 속에서 대충 짜깁기한 것. 저도 인간인지라(쿨럭) 가운데 둘의 매우 긴 녀석들은 못 하고 있지만 나머지 넷 정도는 대충 탑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항목 때문에 교수님들한테 자신감이 없다고 까였던건가...


그러면 오늘도 진실을 찾는 여정을 떠나는 많은 분들께 바다의 가호가 있기를.(오글)


  1. 다만 아돌프 아이히만의 '순진함'은 연기에 불과하다는 말도 있습니다. [본문으로]

'Wri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우절의 유래  (0) 2014.04.01
[초고] 그들에게도 입을 열 자유를 주어라  (0) 2013.12.17
기승전결 버스  (0) 2013.08.20
Stars  (0) 2013.08.13
한 남자의 죽음에 대하여  (0) 2013.07.27
Posted by 덱스터
오랜만에 강하게 나갑니다.


1.
가장 많이 듣는 비판(비난이 더욱 적절하겠지만 말입니다) 중에는 그 의도를 물고 늘어지는 것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자면 '선동하지 마라'라던가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것 등 말입니다. 그런데 하나 묻겠습니다. 그런 비판은 선동적이지 않다거나 정치적이지 않다고 말 할 자신 있으신가요?


2.
정치(政治)라는 단어를 국어사전을 찾아보았습니다.

나라를 다스리는 일. 국가의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며 행사하는 활동으로, 국민들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상호 간의 이해를 조정하며, 사회 질서를 바로잡는 따위의 역할을 한다.

-다음 국어사전

하지만 이게 전부일까요? 예전에 들었던 말 중 '교수를 하려면 정치적 능력도 좋아야 한다'는 말도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여기서 사용한 정치란 단어는 위의 뜻과는 조금 다르겠지요. 이번엔 다른 사전으로 가서 정치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살펴보겠습니다.

정치라는 용어는 국가의 제도와 행정뿐만 아니라 각 민족국가들간의 권력투쟁이나 국가 내에 존재하는 여러 집단에서의 의사결정 등 국제정치와 시민사회 내에서의 정치영역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정치라는 용어를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핵심적 이유는, 모든 집단과 사회에는 그 구성원 전체를 구속하는 통일적 결정을 만들어내는 기능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정치'또는 '정치적'이라는 용어는 그러한 기능이나 그것에 따르는 다양한 현상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다음 백과사전/브리태니커

결국 정치란 것은 '개인의 의도를 사회에 반영하는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그것 자체는 중립적인 가치를 지닐 뿐이지요.(물론 한다는 것들은 시궁창에서 세수해도 깨끗해질 정도이지만..)


3.
싫어하는 분들도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상당히 인상깊게 보았던 유시민 씨의 동영상 하나를 첨부합니다. 약 3분 30초부터 나옵니다.


서울대 강연 中 - 전체 강연

진정성을 묻지 말라는 부분입니다. 다르게 돌려 말하면, 의도는 크게 상관이 없다는 결론을 내릴수도 있겠지요. 결국 중요한 것은 '그 행위가 어떤 결과를 가저올 것인가'입니다.[각주:1] 선동적이건, 정치적이건 간에 그것의 결과물이 나쁘지 않다면 비난할 이유는 없습니다.


4.
자, 그러면 다시 처음의 질문으로 돌아와 보겠습니다.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비판, 선동하지 말라는 비판이 정치와 선동과는 거리가 먼 비판인지 말입니다. 정치적인 의도가 있다는 비판은 비판의 대상이 힘을 얻는 것을 막기 위한 정치성이 내재되어 있으며, 선동하지 말라는 말은 반응하지 말라는 선동에 불과합니다. 순수한 것을 찾으신다고요? 순수한 의도라는 것은 애초에 존재할 수 없는 겁니다. 순수하게 무의식적으로 일을 저지른다면 모르지만, 이성적인 사고과정을 통해 이끌어낸 결과물에 따라 행동하는 경우는 그것 자체가 정치적인 행위입니다. 자기의 이성을 사회에 투영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5.
정치는 내 이야기가 아닌 것 같으시죠? 정치는 죽음만큼 우리 가까이에 있습니다. 관이 당신과는 상관없는 물건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죽음만큼은 피해갈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래서 모든 사람이 갚아야 하는 빚인 것이지요. 죽음과 마찬가지로 정치도 피해갈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왜냐면 살아가면서 무엇을 생각하고 판단하는 행위부터가 정치적인 것이기 때문입니다.


6.
어차피 피할 수 없는 행위들입니다. 선동적이기 때문에, 정치적이기 때문에 싫어한다는 변명 하지 마십시오. 그냥 관심이 없는 겁니다. 그것을 비난하고 싶은 마음은 없습니다만, 지혜롭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군요.




덧. 피곤하네요 -_-;; 과제 중간에 블로깅을 하는 센스...-_-


  1. '결과가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말은 옳다고 봅니다. 단, 여기서 말하는 결과는 물리적으로 나타난 모든 것을 말하는 것이구요. 범인을 잡기 위해 동네의 모든 집을 뒤집어 엎었다면 온동네를 뒤집어 엎은 것조차 결과이기에 정당한 행위로 볼 수 없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사고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결과를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은 상관없다고 보는 것이지요. 이건 이성이 감성의 뒤를 뒤따르는 것과 닮았다고 할 수도 있겠네요. [본문으로]
Posted by 덱스터
이전버튼 1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A theorist takes on the world
덱스터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4.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